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상장기업과 금융회사들을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을 전면 도입하였다. 원칙 중심인 IFRS의 도입은 도입 당시부터 기대와 우려가 병존하였다. IFRS 도입이 회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으며, IFRS 도입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IFRS 도입 후 10년의 자료가 축적된 현재상황에서 장기간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IFRS 도입으로 인해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향상되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Ohlson (1995) 모형에 의한 회계정보의 주가에 대한 관련성이 IFRS 도입 이후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이익조정과 관련하여 IFRS 도입 이후 재량적발생액이 감소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IFRS 도입 전후 각각 10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 연도별로 동일한 표본을 이용하였다. 분석에는 총 324개 기업에 대한 20년간의 자료인 6,480개 기업-연도 표본이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FRS 도입 이후 회계정보의 주가설명력(가치관련성) 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회계정보 유용성 향상은 주로 순자산 장부금액의 가치관련성이 향상되면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재량적발생액 및 재량적발생액의 절대값이 IFRS 도입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경영자의 재량권 확대가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우려와는 반대의 결과이며, 원칙중심 회계가 회계품질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시각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보다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회계기준 도입과 관련한 장기효과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또한 IFRS 도입 효과에 대해 다양한방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는 측면에서도 본 연구는 공헌점이 있다.


Since 2011, all listed companies in Korea are mandated applied to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Expectations and concerns have coexis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principle-based IFR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impact of IFRS adoption on accounting quality are also inconsisten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was improved due to the IFRS adoption using long-term time series data. This study established and analyzed two hypotheses. First, the Ohlson (1995) model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improved after IFRS adoption. Second, in relation to earnigns management, it was analyzed whether discretionary accruals decreased after IFRS adop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IFRS adoptio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improvement i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was mainly due to the improvement in the value relevance of the book value of net asse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discretionary accrual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IFRS adoption.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concerns that the expansion of managerial discretion will increase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nd support the view that principle-based accounting will increase accounting qualit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d the long-term effects related to the adoption of new accounting standards using long-term data.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contributing point in that studies using various methods need to be accumulated on the effect of IFRS ado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