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축제’라는 용어의 근대적 유입과 현대에 어떻게 정착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축제’의 한국적 용어를 모색하고, 한국적 축전의 정체성을 찾는 토대가 되고자 시도해 보았다. ‘축제’라는 용어는 근대 이전에는 현대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 개념은 1873년 일본 태정관포고 제344호에서 황실의 축일과 제일의 줄임말에서 비롯된 조어였다. 근대기에 도입되어 개인문집과 신문, 잡지, 공문서 등에 등장하였다. 외국 선교사들과 외교관이 조선어를 학습하기 위해 만든 이중어사전에서 그들 나라에서 사용한 축제 개념이 사용되었다. ‘축제’와 유사한 개념은 1880년에 처음 발행된 이중어 사전인 『한불뎐』에서 사용되었다. 1901년 한국과 벨기에 조약에서 처음으로 오늘날과 유사한 ‘축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중어사전에 한글로 등장하는 것은 1931년 게일(J. S. Gale)이 증보한 『한영대자전』에서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사전에서 오늘날과 같은 개념이 수록된 것은 그보다 26년이 지난 1957년 한글학회가 발간한 『큰 사전』에서이다. 현대 축전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축전, 축제, 제전, 재(齋), (대)회, 대제(祭, 제향), 놀이, 잔치, 한마당 등 다양하였다. 그럼에도 정부의 정책 개념에 따라 축제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 우리나라 축전에 맞는 개념어를 찾아 한국축전의 정체성과 발전을 재고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estival was established and changed in Korea through the etymology of the term 'chuk-je(festival)' and modern era. The term 'festival' was not used as the same as the present before the modern era. It appeared in the period of the flowering period and in the collection of modern literary articles, newspapers, magazines, and archiv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festival used in their country was used in a bilingual dictionary that foreign missionaries and diplomats made to learn Korean language. The term 'chuk-je(festival)' was used by 『Dictionnaire Cor´een-Français(한불뎐韓佛字 典)』 in the 1880s in French before the 20th century, and by Yun Chi-ho in English. In the 20th century, the concept of 'chuk-je(festival)' appeared. It has been used since 1901 in the Treaty of Korea and Belgium. Appearing in Korean in the dictionary is the Korean-English dictionary, which J. S. Gale added in 1931. Neverthel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 the Korean dictionary is contained in 『The great dictionary(큰 사전)』 published by the Hangul Society in 1957, 26 years later. The terms used in modern festivals are various such as Chuk-jun(festival, 축전), Chuk-je(festival, 축제), celebration(제전), Jae(齋, fete), Daeje(대제), conventions(대회), nori(plays, 놀이), banquet(feasts, 잔치), Hanmadang(한마당). the term festival was generalized according to the policy concept of the government. In this paper, the term ‘chuk-je(festival)’ is not suitable for the Korean festival, and I searched Korean terms and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identity and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est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