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蒙古字韻』은 元代에 편찬된 韻書로 중국 音韻史에서 처음으로 표음문자를 활용하여 중국어에 표음을 가한 韻書이다. 『蒙古字韻』은 절운계 운서의 음운체계와는 다른 당시 북방에서 통용된 현실 독서음을 반영하고 있어 근고중국어의 독서음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다. 『合倂字學集韻』은 17세기 初에 편찬된 운서로 그 音韻체계는 이미 상당 부분 현대중국어의 音韻체계와 맞닿아 있다. 近代시기 北方音의 독서음 音韻체계 변화의 향방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韻書이다. 본고는 中古중국어의 陰聲韻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각 小韻의 『蒙古字韻』과 『合倂字學集韻』의 배속 상황을 대조하여 元代와 明代 사이 韻母체계에 나타난 음운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聲母의 영향으로 正齒·半齒音字에서 일어난 韻母의 분화현상과 개음 [u]의 생성으로 인한 韻母의 분화 그리고 선행하는 고모음 [i]에 주요모음이 동화되어 전설저모음 [a]가 전설중저모음 [ɛ]로 변하는 모음상승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phonological system reflected in Mengguziyun and Hebingzixuejiyun centering on yinshengyun. Mengguziyun is an official rhyme book compiled by the Yuan court to provide an orthography for dushuyin of Northen Dialect in Yuan dynasty and Hebingzixuejiyun is a rhyme book compiled in Ming Dynasty to provide an orthography for dushuyin of Northen Dialect at that time. Assimilation is a sound change that leads the changes in the Chinese phonemes system. Medial(yuntou) was influenced by features of initial(shengmu) and become more similar to them, like shejianhua. And nucleus(yunfu) was influenced by features of medial and becomes more higher, like open [a] were raised to open-mid [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