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녕괴뇌깃당본풀이>, <영천이목사본풀이>, <두리빌렛당본풀이>를 대상으로 이형상의 신당 철폐와 그에 대한 본풀이의 대응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김녕괴뇌깃당본풀이>와 <영천이목사본풀이>는 이형상이 제주 목사로 부임한 후 제주도에서 벌였던 행적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전자는 예로부터 무속이 강한 지역의 마을 신당 본풀이로 이형상을 살해하는 당귀신의 복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면 후자는 후배 심방을 위한 교습서 일부분에 속하는 본풀이로 그에 더하여 이형상의 신당 철폐의 구체적 정황을 전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형상의 김녕뱀 퇴치를 제주도 심방에 대한 선전포고로 의미화한다. 따라서 여타 전설과 본풀이에 없던 새로운 화소를 추가함으로써 이형상을 보다 열등하게 그려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 <두리빌렛당본풀이>는 이형상이 육지로 돌아간 뒤의 후일담에 방점을 둔다. 이형상의 출도를 대가로 이익을 얻는 박동지 영감과 김동지 영감의 모습은 『남환박물』에서 이형상으로부터 정치적·경제적 혜택을 얻고 자발적으로 신당 철폐에 나선 토착 관리들의 형상과 닮아있다. 그러나 <두리빌렛당본풀이>의 당신은 이들을 외면하지 않고 오히려 포용한다. 그리고 이들과의 ‘공존’을 선택한다. <두리빌렛당본풀이>의 이러한 국면은 제주 신화에 내포된 ‘공존’이라는 가치의 일면을 여실히 예증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abolition of Lee Hyung-sang’s shrine and how to Bonpuri respond to it for “Kimnyeongdang Bonpuri”, “Yeongcheon Lee-Moksa Bonpuri”, and “Duribiletdang Bonpuri.” “Kimnyeongdang Bonpuri” and “Yeongcheon Lee-Moksa Bonpuri” a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of Lee Hyung-sang in Jeju Island after he was appointed as a moksa of Jeju Island. The former has long focused on the revenge of the Dangshin who murdered Lee Hyung-sang with the Bonpuri of a village shrine in a region with strong shaman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the Bonpuri belonging to a part of the teaching book for the younger generation’s shaman, and in addition, it aims to convey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abolition of Lee Hyung-sang’s shrine. In particular, Lee Hyung-sang’s eradication of Kimnyeong snake is meaningful as a declaration of war on the shaman of Jeju Island. Therefore, it is focusing on drawing Lee Hyung-sang more inferiorly by adding new motifs that were not in the Bonpuri with other legends. On the other hand, “Duribiletdang Bonpuri” focuses on reminiscences after Lee Hyung-sang returns to land. The appearance of Park Dong-ji and Kim Dong-ji, who benefit from Lee Hyung-sang’s participation, resembles the appearance of indigenous officials who voluntarily abolished the shrine after receiving political and economic benefits from Lee Hyung-sang at the records. However, Dangshin in “Duribiletdang Bonpuri” do not turn a blind eye to them, but rather embrace them. And choose ‘coexistence’ with them. This phase of “Duribiletdang Bonpuri” can be summarized as clearly illustrating one aspect of the value of ‘coexistence’ implied in Jeju myt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