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제주도 무속서사시인 <문전본풀이>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명옥이 구연한 판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그간 학계에서는<문전본풀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가정신화나 가신신앙의 관점에서 다루어졌다. <문전본풀이>는 ‘대립’을 핵심으로 전개된다. 특히 인간-자연, 자연-문화의 대립양상을 통해 해체된 가정의 회복, 자연과 문화의 공존, 우주적 창조의 기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각별한 신화이다. 특히 신화적 창조가 가정이라는 사회적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유다른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이 글은 이점에 주목하여 <문전본풀이>의 의미를 살펴보고, 기존의 논의를 좀더 확대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특히 이 글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것은 신명옥 구연본의 신화적 분석이었다. 신명옥 구연 <문전본풀이>는 가족구성원들의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으로부터 전개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립양상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하는데 집중해야한다. 그 결과 <문전본풀이>가 개인-사회-우주로 확대되는 삼중의 대립 양상에 의한 신화적 속성을 지닌 본풀이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Jeju shamanic epic <Munjeonbonpuri>.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edition composed by Shin Myung-ok. Until now,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oonjeonbonpuri>.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ities of house or deities of family. <Moonjeonbonpuri> develops with the core of 'confrontation'. In particular, it is a very special myth in that it shows the recovery of the dissolved family, coexistence of nature and culture, and cosmic creation through the confront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culture. In particular, mythical creation is taking place through the social space of home, which gives the mythology a unique meaning.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Moonjeonbonpuri>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and to further expand the existing discussion. In particular, what I tried to clarify in this article was the mythical analysis of Shin Myung-ok's narratives. Shin Myung-ok's story <Moonjeonbonpuri> is unfolded from the binary opposition of family memb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hat is being said through this aspect of confron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onjeonbonpuri> is a bonpuri with a mythical nature of a triple confrontation that expands into individual-social-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