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비하여 진일보된 발전을 보이고 있는 특수교육 환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교육의 평등권이라는 차원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에는 실질적 평등권 시각에서 적극적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수교육에서 큰 변화를 가늠하는 기준은 특수교육에 의한 자생적 발달보다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는 인식 변화와 함께 하였다. 패러다임 변화 또는 사회적 요구라는 점에서 특수교육의 미래지향적 발전은 현재의 정책에 대한 만족보다 발전에 근거한 비평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의 교육권으로 대변되는 통합교육 정책의 효과성, 의사소통 방법의 실효성, 장애학생의 학급 당 인원의 적절성, 그리고 순회교육 지원의 확장성 방안에 한정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정책의 평등권과 실질적 평등권의 괴리를 고찰하면서 바람직한 변화를 제안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In this study, th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which is showing advanced development compared to the past, was considered. Although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terms of equal rights in education, the need for active support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ual equal rights.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big change in special education was the change of perception that accommodates social change rather than the spontaneous development caused by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paradigm change or social demand, the future-oriented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development rather than satisfaction with current policies. This study intends to describ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olicy represented by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he scalability of itinerant education support. It is hoped that desirable changes can be proposed while examining the gap between the right to equality and the actual right to equality i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