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합적 평화론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 논문은 경합적 평화개념을 통해 한반도 평화연구의 주요 연구영역에 해당하는 평화구축에 대한 경합적 시각을 제시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도되는 평화적 절차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보편적으로 동의하는 합의를 의미할 수 없으며, 분쟁 후 사회에 만연한 급진적 불일치와 적대성은 끊임없는 논의와 중재의 과정을 통한 정치적 행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합적관점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줄 수 있는 함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평화프로세스는 남북한 사이의 정치적 화해를 추구하고 다양한 수행주체들을 포착해야한다. 둘째, 통일의 과제는 다원적 정치공동체 설립에 대한 종말론적 추구로 발전되어야한다. 셋째, 남한사회의 정치공동체가 갖는 경합적 내러티브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Korean peacebuilding through the lens of agonistic peace theory. This theory offers a post-modern epistemology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conflict: that is, conflict in human society is inescapable and a core element of democratic politics, and the process of management has a constructive feature. Political procedure to build peace in democratic societies cannot be equated with consensus-making, to which every social member universally agrees. So, radical disagreement and antagonism following violent conflict ought to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enterprise with discussion and accommodation. From the agonistic perspective, thre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acebuilding can be noted. First, the peace process ought to pursue political reconciliation and capture various actors and agencies. Second, tasks of unification need to develop as an apocalyptic pursuit of political community based on diversity. Third, agonistic narratives in South Korean society need be included as part of Korean peace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