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을 지향하는 성리학에서 치인(治人)의 출발지로 수기(修 己)는 언제나 중시되었다. 화담 서경덕이 성리학자라는 점을 부인하지 않는 이상, 수양의 측면에서 화담의 철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는 복(復)에서 출발하여 동정(動靜)을 관통한 가장 최적의 상태인 지(止)에 이르기까지의 순간들 속에서 선(善)을 포착하려고 노력하였는데, 이는 자연변화 속에서 인간의 도덕성(道德 性)을 찾고자 했기 때문이다. 화담은 기(氣)를 자연의 역동성을 통해 인간 도덕성을 파악하려는 매개체 역할로보고 있으며, 복(復)에서는 순간적인 감응의 시점인 지일(至日)을 통해 놓치지 않고조장하지도 않는 자연적인 선(善)의 모습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화담은 지(止)를통해 욕망과 도덕 사이에서의 도덕률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화담에게있어서 자득(自得)으로 표출된다. 그러므로 화담의 복(復)과 지(止)에는 자득(自得) 이라는 수양론적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추구하는 수양론에서 인식과 실천의 합일은 중요한 부분이다. 이는 인식이란 큰 틀에서 자연계의 변화속에 인간의 윤리적 삶을 정초 지으려는 것이고, 실천이란 그에 따른 인간의 도덕적행위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계의 변화와 도덕적 삶의 합일을 지향하는측면에서 화담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성리학에서 다루는 도덕(道德)은모호하거나 추상적인 것이 아닌 실천적이고 역동적이며 확실한 목표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화담의 사유는 성리학자로서 인식과 실천의 합일을 지향하며 기(氣)의 역동성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보고자 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Self-cultivation (修己) has always been emphasized as the beginning of governing others (治人) in Neo-Confucianism which seeks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thers. It has been argued that self-cultivation has to be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others. Unless the fact that Hwadam Seo Kyung-deok was a Neo-Confucian is denied, Hwadam’s philosophy has to be reexamined in the aspect of self-discipline. Centering on the point of self-discipline, Hwadam’s way of study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Self-Integration (自得), and he tried to balance the moral law at the border line between naturality and morality. Hwadam tried to capture morality by starting in the moment of dynamics of returning (復) and reaching the most optimized state of stopping (止) which penetrates movements (動靜). For him, the changes of nature were not just simple changes but a way to find morality, the true self of a human being. His training theory was expressed in his study through returning(復) and stopping(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