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표는 『시학』의 비극 정의에서 정의항의 두 부분, 즉 ‘완결성’과 ‘감정 효과’에 초점을 맞춰, “극 바깥(exō tou dramatos)”이 이 둘과 직결되는 용어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의 순서를 취한다. 먼저 “극 바깥”이란 배우의 간략한 말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될 뿐 현재형의 행동으로 연출되지는 않는 과거사나 미래사가 놓이는 곳으로서, 표현은 공간이지만 실제 의미는 시간에 관련됨을 서술한다. 다음으로, “묶기”란 주인공의 운의 전환에 필요한 사건들을 설계하는 작업인데, 여기서 비중 있게 사용되는 것은 극 안의 현재사보다는 극 바깥의 과거사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비극 정의에 언급된 ‘행위의 완결성’은 ‘극의 통일성’을 뜻함을 설명하고, 극이 통일성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플롯의 통일성’부터 마련해야 함을 짚은 후, 다음을 보인다. 첫째, 극 바깥의 과거사는 극 안의 현재사가 일어날 만한 이유를 제공하여 사건들을 인과적으로 밀착시켜 주기 때문에 통일적 플롯 구성에 필요하고, 특히 알아보기가 포함된 플롯 제작에서는 그 적극적 사용이 필수적이다. 둘째, 극 바깥의 과거사는 관객에게 인과적 정보를 제공하긴 하지만 이 정보를 덜 생생하고 덜 상세하게 제공하여 관객 인지 상태의 명료한 정도를 낮추기 때문에, 극 안의 중대 사건의 예기치 않은 발생을 준비하는 데 효과적이고, 특정 과거사의 불합리한 요소가 관객의 의식에 포착되지 않도록 감추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는 “극 바깥”이 플롯의 통일성 마련에 필요하다는 점에서 ‘완결성’과 직결되고, 놀라움의 규모 확대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감정 효과’와 직결됨을 밝히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outside the drama” is closely connected with both ‘completeness’ and ‘emotional effect’ mentioned in Aristotle’s definition of tragedy in Poetics. For this, I explicate that “things outside the drama” refer past or future events that are conveyed to the audience through actors’ brief words, not through their actions. Next, I explain that “tying” means setting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 change of protagonist’s fortune comes, and that things outside are more important than things inside for the task of tying. Lastly, after making sure that ‘completeness’ means the unity of drama and this requires the unity of plot, I argue that past events outside the drama are needed to build a unified plot structure on the ground that they strengthen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events that happen on stage. And I also argue that they are effective in designing a major event to occur unexpectedly on stage, explaining that the causal clues provided by them are less vivid and less detailed so that the cognition of the audience about them is not so clear, which is also why they can be used to conceal some irrational elements of certain past events from the audience’s critical attention. In conclusion, I claim that “outside the drama” is closely connected with ‘completeness’ in that it enhances the unity of plot, and also with ‘emotional effect’ in that it is useful for giving the audience a greater su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