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가능성(compossibility) 개념은 라이프니츠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공가능성에 대한 영향력 있는 네 가지 해석들을 살펴보고 각 해석의 장단점을 지적한다. 더불어 나는 그동안 연구자들 사이에서 간과되었던 한 가지 문제를 지적한다. 공가능성에 대한 영향력 있는 해석들은 모두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공가능성을 이행적(transitive)인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이 논문에서 라이프니츠가 공가능성을 비이행적인 관계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임으로써, 공가능성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The notion of compossibility has been one of the most hotly contested issues among Leibniz scholar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four influential interpretations and demonstrate their shortcomings. Moreover, I will show that one crucial issue has been largely overlooked: According to Leibniz, the compossibility relation is intransitive. Intransitivity will be a new challenge for the above interpretations;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y seem to agree that compossibility relation is transitive. By showing this, I raise a new objection to all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compo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