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심리적 특권의식은 개인이 자신의 성과와 노력 수준과 관계없이 기대 이상의 보상을 바라는 개인의 기질적 특성으로서 구성원 간 갈등 조장 및 조직 문화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특권의식 관련변인을 통계적으로 종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구성원의 심리적 특권의식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수행된 심리적 특권의식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총 85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과 관련된 47개의 변인을 인구통계학, 개인의 성격, 개인의 정서, 조직심리 및 행동, 그리고 기타 변인 총 5개의 영역으로 유목화하였다. 비교 변인 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특권의식 비교 변인 중 외향성, 셀프 모니터링, 조직 내 일탈행동, 사회적 바람직성, 그리고 학문적 특권의식 5개 변인을 제외한 42개의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착취적 특권의식, 비착취적 특권의식, 나르시시즘, 학문적 특권의식, 사회적 지배 지향성, 비생산적 직무 행동 등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에 대한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Psychological entitlement i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trait in which the individual expects more than reward regardless of his or her effort 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verify the effectiveness through synthesizing statis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related variables and suggest the way to deal with it. In line with the purpose of our research, we systematically collected the studie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finally, 85 studies have been selected for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categorized 47 comparison variables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demographics, individual personality, individual affect,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and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 size for psychological entitlement excepted extraversion, self-monitoring, workplace deviance, social desirability, and academic entitlement. In particular, exploitive entitlement, nonexploitive entitlement, narcissis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presented a high level of effect size. Finally, we deriv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discuss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