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Survey)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주거와 경제적 특성 변화에 대한 코호트 분석을 실시하고, 2015~2019년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청년의 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의 경제적 지원, 주택시장 특성 등이 청년 독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독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측 불가능한 특성을 통제하지 않음으로 발생하는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상관임의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보다 정교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모형에서는 청년의 인구학적 특성과 함께 고용상태, 월 평균 임금, 총 부채와 같은 경제적 특성, 부모의 경제적 지원, 주택시장 특성에 대한 대부분 변수가 청년의 독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상관임의효과 모형에서는 청년의 경제적 특성에 대한 설명변수의 유의성이 대부분 사라지고 상대적으로 주택매매가격 상승률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내생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의 생활비 지원 함께 증여거래 비율, 전세가격 상승률 변수는 여전히 청년의 독립에 유의한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parental economic support and housing market on young people’s independence. Based on Youth Panel Survey data in 2015~2019, various panel models were estimated to understand young people’s independence. In empiric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The endogeneity problems may arise if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Thus, this study apply a correlated random effect model(CRE) to deal with the endogeneity issue. The findings reveal that, with no consideration for endogeneity, most explanatory variables affect the independence of the young people. However, when applying the correlated radon effect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parental economic support and housing market such as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price and chonsei price and the ratio of gift transaction are more likey to be the significant determinant, although young people’s economic status variables like income and deb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