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직장 내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인적차원의 장애수용과 사회·환경적 맥락으로서 직장 내 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상호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상태인 50세 이상 고령장애인 근로자 총 78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CSGL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장애인 근로자의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직장 내 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직장 내 차별 경험이 있을 경우 개인의 장애수용이 높더라도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은 고령장애인이 체감하는 고용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오히려 장애수용이 높은 개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방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또는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인의 장애수용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더불어 사회·환경적 맥락으로서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의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영향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질적 개선 및 내실화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Purpose o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the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Method: The sample was drawn from the 2020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and a total of 789 adults aged 50 or older were included in analyses based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Res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the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r worker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or Implications: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careful approach to an individual’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long-term and comprehensive impa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the workplace, as it i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for the older worker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