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주 목적은 1950~60년대 구체시 운동 이후 브라질의 시각시가 어 떠한 방향으로, 어떤 특성을 띄며 전개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인쇄된 활자의 시에서 비디오의 픽셀화 그리고 컴퓨터 등 첨단 매체를 통해 비트로 전환된 시각시를 중심으로 20세기 후반 이후 현재까지 브라질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각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현 시점에서 브라질 시각시 가 보여주고 있는 한계는 무엇이고 또 지금까지 드러난 시와 매체의 상관관계 는 무엇인지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로 새로운 매체들이 속속 등장함에 따라 그 매체들에 대한 시각 시인들의 대응 자세와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었는데 특히 여러 시인들 가 운데 이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온 Augusto de Campos의 시 분석을 통 해 시와 매체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파피루스-종이-픽셀-비트로 발 전해온 매체를 시인은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탐구하고 그 내용을 자신의 시와 융합하고자 하였는바 그 주된 이유는 50~60년대 구체시들이 부딛힌 한계를 극 복하고자 하는 도전의식 그리고 아직 식지 않은 실험정신 때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도전과 실험을 통해 시와 매체의 관계는 결국 상호보완적이 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으며 그 매체의 활용이 50-60년대 구체시, 나아가 시각시 전반에 새로운 돌파구가 되면서 또 하나의 과제로 남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in what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Brazil's visual poetry has been developing since the 1950s and 1960s. By looking at the development of visual poetry in Brazil since the late 20th century, focusing on visual poetry converted into bits through high-tech media such as video pixelation and computers, we tried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visual poetry today and its correlation whit the media. More specifically, as new media emerged one after another with tremendous speed of technology,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ttitude and perspective of visual poets on the media, especially the perspective of Augusto de Campos, who has actively responded to this situation. As we know, the poet actively accepted, explored, and fused the high-tech contents into his poems. It is believed that in the base of such attempts was a sense of challeng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aced by visual poems in the 50s and 60s and an experimental spirit that has not yet cooled down. Through these challenges and experiment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edia was complementary, an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media became a new breakthrough in concrete poetry and even visual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