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다양한 최신 감정이론들의 관점에서 울분 감정의 본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래에 린든이 “외상후 울분장애(PTED)”라는 정신장애 진단개념을 고안한 이후, 국내외 연구자들은 이 개념을 정신병리학적 차원에서 사회의 다양한 현상들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외상후 울분장애의 핵심을 이루는 울분(Embitterment) 감정 그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울분 감정 자체에 대한 지금까지의 유일한 이론적 분석이라 할 수 있는 즈노이의 논의를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즈노이는 울분 감정을 인간이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일종의 정상감정이자 복합감정으로 보고, 플럿칙의 “기본감정 이론(Basic Emotion Theory)”과 라자루스의 “가늠이론(Appraisal Theory)”에 근거하여 울분 감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즈노이가 받아들이고 있는 이 플럿칙의 기본감정 이론과 라자루스의 가늠이론이 그리피스의 자연종 논쟁과 베럿의 심리적 구성주의에 의해 어떤 식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울분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법으로 “신기본감정 이론(New Basic Emotion Theory)”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Since Linden first coined the term,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which is characterised as a kind of psychological disorder, many scholars from various areas in social science have used the concept as a tool to analyse social phenomena.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which is the core emotion of PTED, is still poor since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o ground it theoretically. Znoj’s work is the only meaningful attempt to ground the emotion of embitterment. He understands embitterment both as a complex emotion following Plutchik’s basic emotion theory and as a normal adopting Lazarus’s appraisal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since the idea that emotion is a natural kind, which is shared by both Plutchik’s basic emotion theory and Lazarus’ appraisal theory, has been defeated by both Griffiths’s and Barrett’s criticism, Znoj’s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is groundless.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New Basic Emotion Theory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ground the emotion of embitte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