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칸트 선험 철학에서 개념과 직관을 매개하는 상징이라는 방법은,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에서 그 씨앗이 발견되는데, 양 비판서에서 칸트는 그 상징에 관한 간단한 언급에 그치고 있다. 그러한 상징은 『판단력비판』에서 비로소 결실을 맺게 된다. 칸트는 특히 제59절에서, 개념과 직관을 상징적으로 매개하는 방법의 구체적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징 그 자체가 그의 철학에서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은 이중의 이유로 간과되어 왔다. 첫째, 암묵적으로, 세 비판서 중에서 제1비판서가 칸트 선험 철학의 모범으로 간주됨으로써, 개념과 직관을 매개하는 방법의 모범 또한 도식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도식 자체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그에 비해서, 개념과 직관을 매개하는 또 다른 방법인 상징 자체는 주목을 받지 못했다. 둘째, 상징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제59절의 제목이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에 대하여」라는 것에서 보듯이, 상징은 취미 판단의 연역 또는 미와 도덕의 관계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취급되기 일쑤였다. 하지만, 이 글은 지금까지 부산물 또는 이차적인 것으로 치부되었던 상징 그 자체에 빛을 비춤으로써, 칸트 선험 철학에서 상징이 갖는 적극적 의의의 규명을 시도하고 있다.


We can find the seed of the symbol which is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but Kant simply mentions about the symbol in there. The symbol finally bears abundant fruit in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Especially, Kant expands the symbolic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cretely in the section 59.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 in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has been overlooked because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The first Critique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hence the schemata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sequently, the schemata has been studied by many commentators, but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ymbol which is another way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Secondly, the title of the section 59 ‘On beauty as a symbol of morality’ indicates that commentators tend to use the symbol as a too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deduction of the judgment of taste or the relation between beauty and moral. However,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e positive significance of ‘symbol’ in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hrough casting light on the symbol which has been deemed merely residual products or secondary things. *In this abstract, Kant’s terms are cited from The Cambridge Edition of the Works of Immanuel K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