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L2 학습자들)이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작문 능력 향상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글이나 담화 상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현재 공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어 교육은 수능 위주의 독해와 문법 교육이 중심이기 때문에 쓰기 교육은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어인 영어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사를 표현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영어 교육에서도 말하기 그리고 쓰기와 같은 표현 교육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영작문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제2언어 습득론(second language acquisition)의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 오류 분석 연구(한영주 2014 등)와 영작문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한학선 2014) 등이 대표적이었다. 본고에서는 EFL의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작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새로운 관점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개별 문장 차원의 작문 능력 향상과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두 언어의 담화 전체나 글 전체를 비교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learners who learn English in Korea (L2 learners) need t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to improve their English ability. it is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hat appear in writing or dis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Currently, English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system focuse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the CSAT, so writing education is not receiving much attention. However, as the number of situations in which one has to express one's thoughts or opinions in English, the international language, increases, expression education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English education. So far, interest in English writing education has focused on error analysis studies to examine the theor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an Young-joo 2014, etc.) This was typical.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have a new perspective in order to improve the English writing skills of Korean English learners studying in the EFL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by comparing the entire discourse or text in English and Korean rather than analyzing individual sentences. A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use of third-person pronouns in Korean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English,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learners of English in Korea are prone to errors when writing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