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이주배경(국내출생·중도입국)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평균차이와 다문화 청년들의 관계(사회적지지, 부모자녀관계) 및 맥락(사회적주변화)에 대한 지각과 문화적응 태도(동화주의적태도, 다문화 상호작용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국에 거주 중인 다문화 청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주배경(국내출생·중도입국)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평균차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관계에서 국내출생 청년들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도입국 청년들의 경우 사회적주변화, 동화주의적태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사회적지지와 다문화 상호작용 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사회적주변화가 높을 경우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an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immigrant background an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environment, and cultural adaptation attitude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ng people.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multicultural young people residing across the country. Multivariate analysis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statistics package softwa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immigration background, the average of native-born with mixed par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mmigrant youth ha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marginalization and assimilation attitudes. When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social support, social marginalization, and motivation for intercultural contac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