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영주귀국이 실시된 후 중년 및 노년층 사할린 한인 여성들 사이에서 나타난 일상의 젠더화된 담론과 새로운 상상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과 일본정부는2000년부터 사할린 한인들을 위한 집단 영주귀국사업을 추진하였고, 이 사업을 통해4,000명을 넘는 사할린 한인들이 이른바 ‘고향’인 한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러나 생년월일(연령)을 기준으로 귀국 자격을 부여하는 정책으로 인하여 일부 고령자들만이 이주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귀국사업을 통해 한국과 사할린에서 사는 여성들은 ‘어머니의 이주,’ ‘어머니와 아이의 이별’을 둘러싸고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고 상상을 하게되었다. 버림, 부담, 어머니 노릇의 은퇴라는 세 가지 주요 담론을 통해 여성들은 어머니의 이주를 비난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령화라는 맥락에서 이주에 대하여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사할린 한인 여성들의사례를 통해 연령, 생애단계가 젠더화된 초국가 이주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영주귀국은 이주하는 자와 이주하지 않는 자들이 행하는 일상의 문화실천을 통해 형성되는점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older Sakhalin Korean women make sense of mothers’ migration, leaving behind their children on Sakhalin(Russia). Since 2000, Sakhalin Koreans have returned to their so-called homeland, South Korea. However, due to the age-based entitlement of return, it has brought about transnational separation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is paper highlights gendered moral discourses around mothers’ migration that older Sakhalin Korean women have produced and circulated. These include everyday discourses of abandonment, burden, and mothers’ retirement. Within the context where women’s migration is blamed, not only returnee women but also the women who stay on Sakhalin actively create various counter-mean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issues around women’s migration are not limited to working age women and small children. Age and life course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women’s discourses and imagination on their transnational mi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