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다나 해러웨이의 ‘우리는 퇴비다’라는 선언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고,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을 어떻게 바꾸었으며, 그리고 왜 지금 이것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데카르트의 이원론을 해체하는 해러웨이의 ‘자연문화’ 개념을 신유물론 페미니즘 맥락에서 살펴본다. 둘째, ‘우리는 퇴비다’라는 해러웨이의 윤리-존재-인식-론을 생태진화발생생물학 차원에서 과학적ㆍ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린 마굴리스의 공생발생 이론,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비키 헌의 동물권 인식을 차용하여, 장내 미생물과 인간의 공동생성적 반려 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기존의 포스트휴머니즘을 인간 예외주의와 추상적 미래주의로 비판하면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결별하는 그의 새로운 윤리-존재-인식-론을 ‘퇴비주의’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Donna Haraway's 'we are compost' manifesto was conceived, how it changed ou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why we need it now. First, I examine Haraway's concept of 'naturecultures', which deconstructs the dualism of René Descartes, in the context of New Material Feminism. Second, to scientifically and intuitively understand Haraway's ethics-onto-epistem-ology of 'we are compost' in ecological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EcoEvoDevo), by borrowing the concept of Lynn Margulis’s symbiogenesis, microbiome, and Vicki Hearne's animal rights, I examine the sympoietic companionship between gut microbes and humans. Third, I propose to call her new ethics-onto-epistem-ology, which criticizes posthumanism as human exceptionalism and abstract futurism, as 'compos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