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수교 이후 30년 동안 다양한 문화갈등 사례가 발생했다. 한-중 문화갈등은 상호 탐색기(1992~2002), 간헐적 발생기(2002~2016), 냉각기(2016~2020)를 거쳐 빈발기(2020~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북공정(2002)과 한한령(2016)은 문화갈등을 구성하는 두 개의 변곡점이다. 한-중 문화갈등은 양국 정부와 민간이 원인 제공 주체로 기능하면서 역사 및 국적문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발생한다. 최근에는 대중문화콘텐츠 자체가 갈등의 진앙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갈등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국제관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접근 또한 역사적, 구조적, 경제적, 국제관계적, 문화콘텐츠적 층위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문화갈등에도 불구하고 일부 ‘긍정적’ 신호가 있는 점도 사실이나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건강한 한-중 관계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는 제도적, 국제적, 교육적, 사회적,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


In the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various cases of cultural conflict have occurred.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has gone through a honeymoon period(1992~2002), an intermittent period(2002~2016), a cooling period (2016~2020), and reached the frequent period(2020~present). The Northeast Project(2002) and The Administrative Order that Bans Korean Culture(2016) are two inflection points that constitute the cultural conflicts. The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ise centered on the issues of history and national culture as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and the private sector function as the cause-providers. Recently, pop culture contents themselves are acting as the epicenter of conflict. These cultural conflicts tend to be reinforced by various causes such as nationalist ide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fore, the approaches also need to be carried out at the level of historical, structural, economic,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ultural contents.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positive’ signals despite cultural conflicts, but institutional, international, educational, social and diplomatic efforts are needed to create a healthy Korea-China relationship while managing them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