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필수로 다루어지는 학술기본어휘의 다의적 특성을 포착하여 그 의미 양상을 살피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황성은(2017)의 어휘 목록을 기반으로 232개의 학술기본어휘를 선별하였고, 어학사전과 백과사전 등을 통해 각 어휘의 기본의미와 전문의미를 자료화하였다. 그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하나 이상 갖는 다의어 학술기본어휘가 88%로 많은 수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빈도수가 높은 7개 학문 분야의 어휘 163개의 전문의미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감수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정리된 학술기본어휘 134개의 의미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함께 가지는 경우 전공 진입 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의미와 전문의미의 의미 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 학문 분야에 따라 두 의미를 함께 교수·학습할 수 있으며, 거리가 먼 경우 기본의미로부터 전문의미를 유추하기 어려우므로 학문 분야별로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술기본어휘 관련 논의를 더 넓은 관점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lysemous characteristics of academic vocabulary, examine its meaning, and derive relevant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232 academic vocabularies were selected based on Hwang Sung-eun(2017), and the vocabulary list including the basic meanings and specialized meanings for each vocabulary was pre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vocabulary with one or more specialized meanings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s accounted for a majority: 88%. Since then, an exper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63 specialized meanings in seven academic fields with high frequency, and the meaning of 134 final academic vocabularies was analyz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having a specialized meaning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 can be managed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before entering the major.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asic meaning and the specialized meaning is close, they can be taught and learned simultaneously as per the academic field, if not,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inferring the specialized meaning from the basic mea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existing discussion related to academic vocabulary to incorporate a broader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