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 시민사회의 원리는 사회계약론과 권리 개념에 입각해 있다. 그러나 이는 이분법적이고 모나드적이며 자유경쟁에 입각한 것이기에 오늘날 ‘무한 독점과 양극화’, ‘환경파괴와 이상 기후’ 등 시대적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일제하 이돈화는 홉스, 로크, 루소 등의 사회계약론을 분석하면서 그 한계점을 논하고 동학에 바탕한 ‘인간격(人間格) 생활’의 신사회를 주장하여 ‘삶의 원리적 대전환’을 이루고자 했다. 여기서 ‘인간격’이란 낱낱의 인격과 달리 우주 대생명의 중심이 되는 우주격(한울격)을 뜻하고, ‘생활’이란 우주생명과 인간, 개인과 사회를 내적으로 결합하는 우주생활을 지칭한다. 당시 동학사상가들은 서구의 천부인권 개념을 인간의 ‘한울 본성을 잘 보호하고 펼쳐나갈 권리’로 개념지어 천권(天權)이라 명명했고, 이돈화는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인간격의 우주생명권, 창조의 자유권, 동귀일체의 평등권을 지향했다. 이러한 권리 개념은 서구 인권개념으로서 개인 중심의 생명권이나 욕망적 권익 옹호와는 차원을 달리한 것이었다. ‘인간 본연성’의 실현이자 ‘인간격의 권리’ 구현은 우주생활을 향상케 하는 ‘신사회 건설’ 운동이고, 인간격의 사회는 곧 우주생명의 거점이 된다.


The principles of modern civil society are based on the social contract theory and the concept of rights. However, Western ideology, which is dichotomous, monadic, and based on free competition, is facing crises of the times, such as ‘infinite ownership and polariza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abnormal clima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Lee Don-hwa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ocial contract theory of Hobbes, Locke, and Rousseau. And he tried to achieve a ‘principal transformation of life style’ by advocating a new society of ‘holon character(人間格)’ based on Donghak. Here, ‘holon character’ refers to the ‘cosmic character(宇宙格)’ that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s great life, unlike individual personalities. In addition, modern Donghak philosophers at the time named the western concept of natural human rights as “the right to protect and unfold the human nature of Hanul” and named it ‘Heavenly Rights (天權).’ This concept of rights wa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centered right to life and the protection of lustful rights and interests, which are the core of Western human rights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