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러시아 영화에서 북극 토착민의 시각적 재현이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를 가리지 않고 뚜렷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14년에는 러시아 ‘북극 영화’ 네 편이 한꺼번에 출시됐다. 이 중에서 A. 즈뱌긴체프의 「리바이어던」과 N. 메샤니노바의 「‘희망’ 공장」, A. 멜니크의 「영토」는 러시아 안팎에서 다양한 주제에 걸쳐 분석적 조명과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러시아 북극권의 대표적인 소수 토착민인 야말 지역 네네츠인에 관한 이야기를 극영화 최초로 묘사한 V. 투마예프의 「하얀 이끼」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어떤 비평적 접근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하얀 이끼」를 중심으로 러시아 ‘북극 영화’에서 북극 지역 소수 토착민의 삶에 관한 시각화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졌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중요한 ‘내적 타자’로서 북극 토착민의 당면 현실과 문제가 무엇인지 본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re is an apparent trend that indigenous peoples living in Russian Arctic have recently been visualized in both Russian documentary and feature films. In 2014, especially, four ‘Arctic films’ have been released at once in Russia: Andrei Zaviagintsev’s Leviathan, Natal’ia Meshchaninova’s ‘Hope’ Factory, Aleksandr Mel’nik’s Territory and Vladimir Tumaev’s White Moss. The first three films, among others, have been thoroughly analyzed and highly admired through various themes and motifs both in Russia and in other countries. On the contrar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o date on the film White Moss which for the first time in Russian film history visualizes a story of Nenets people living in Yamal region above the Arctic Circle. For this reason, in the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in detail how indigenous people dwelling in the Arctic have been visualized in Russian film history and what are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life of Nenets people, one of the ‘Inner Others’ of Russia, as reflected in the film White M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