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국제사회에서 여성성기절제는 여성의 인권을 유린하는 행위라 여기며 시행국을 중심으로 이를 근절하기 위한 움직임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가 장기화되며 그 피해자는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프랑스는 여성성기절제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아프리카의 출신여성들이 가장 많이 비호국으로 선택하고 있는 국가이며, 감염증 사태 이후 프랑스로 난민을 신청하는 여성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이들이 프랑스를 그들의 비호국을 선택한 데에는, 여성성기절제를 이유로 난민을 신청하는 여성들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견지하는 프랑스의 정책기조가 가장 큰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프랑스의 포용정책은 여성성기절제를 비롯한 여성난민 전반에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랑스가 여성난민에 대해 견지하고 있는 관대한 처우의 기저에는 이들을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대처하려 하는 프랑스의 인도주의적인 정신이정책으로 자연스럽게 반영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En Europe, la France est un pays généreux d’accueil des immigrés et des réfugiés. Cependant, ces dernières années, la France prend de plus en plus une position passive en les acceptant. En effet, l’afflux massif de demandeurs de réfugiés a causé divers problèmes, tels que des difficultés économiques et financières. Cela a été suffisant pour que les Français aient des sentiments “anti-immigration” et “antiréfugiés”, conduisant à des politiques de contrôle de l’afflux de réfugiés. On constate pourtant que la France essaie de maintenir une posture tolérante en tant qu’Etat des droits de l’homme en reconnaissant les victimes de violences basées sur le genre comme “les défavorisés au niveau sociale”. En effet, la France est actuellement le pays favorable à l’accueil des victimes de violences basées sur le genre, en particulier les filles et les femmes à risque de MGF et ayant déjà subi une MGF. La France s’efforce d’améliorer leur traitement par des mesures telles que la «prévention», la «protection» et la «pu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