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윤리적 민감성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교과목에 플립러닝과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두 교수법의 적용은 윤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학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교과목 수강생 21명을 대상으로 윤리적 민감성 수준에 대해 동일집단 사전-사후조사 후 t-검증분석을 통해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개인 성찰일지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윤리적 민감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이 5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어려웠던 학습 내용, 윤리적 실천에 대한 새로운 인식,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습자의 활동, 협동적 학습과정의 어려움, 학습의 긍정적 효과.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윤리적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협동활동 과정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FL)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social welfare ethics and philosophy course to improve ethical sensitivity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application of FL and PBL was focused on ethical decision making process. 21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through one group pretest-posttest was analyzed by 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both learnings. Personal reflective journal was analy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crease in ethical sensitivity. 5 main categories were emerged by qualitative analysis as follows: difficult learning contents, new perception about ethical practice, learners’ activities during problem solving process, difficulty of cooperative learning work, and positive effects of learning. This study proposed supplementary points to improve ethical sensitivity and to solve difficulty of cooperativ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