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적대적 귀인편향,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대적 귀인편향은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를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적대적 귀인편향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부민감성과 적대적 귀인편향,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즉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을 때,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직·간접적 영향을 낮추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감소시킬 때 적대적 귀인편향과 마음챙김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332 people's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hostile attribution bias partially mediated the path of rejection sensitivity to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in the relation between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relational aggress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relational aggression. That is, when the level of mindfulness was high,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lowe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mindfulness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when reducing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