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특수교사의 경험 및 인식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중도중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4명과 특수교사 9명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36개의 하위 주제, 6개의 주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범주와 그에 따른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도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상호작용과 행복감이 갖는 함의: 상호작용이 갖는 함의, 행복감이 갖는 함의, (2)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 유형과 행복감 표현 방식: 상호작용 유형, 행복감 표현 방식, (3)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 방안과 지원요구: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 방안,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을 위한 지원 요구.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방안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awareness and explore the support needs of mot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teractions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participants: four mothers and n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ach interview took about one to two hours, and the transcribed data after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6 sub-topics, six topics, and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categories include (a) implications of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implications of interaction, implications of happiness), (b) interaction types and methods of expressing happiness amo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type of interaction and expression of happiness), (c) improvement plans and support needs for the interactions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how to improve interaction and happiness, and the need for support to improve interaction and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interactions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