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혁신은 공공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도구로 조명 받아왔다(Walker, 2006). 이를 혁신성과의 관점에서 봤을 때 본 연구는, 공공조직만이 가지고 있는 통제와 그 유형에 따라 혁신성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논의하고자 한다. 주체와 성격으로 분류한 통제는 크게 4가지 유형(공식적 외부통제, 비공식적 외부통제, 공식적 내부통제, 비공식적 내부통제)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이 각각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기관장의 리더십이 주는 조절효과를 조직진단평가연구센터에서 수행한 한국 공공서비스조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가지 통제유형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관장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각각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조직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에 대한 대응성(비공식적 외부통제)이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공공봉사동기와 같이 조직 구성원의 내면적 동기를 촉진하는 기관장 리더십으로 인해 긍정적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비공식적 내부통제와 같이 업무 절차상 보이지 않는 장애물에 대한 인식이 높을 때 혁신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기관장 리더십으로 인해 오히려 더 악화된다. 이와 같이 기관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변화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이행을 낮추고, 현재 상태에 안주하게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성과에는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Our society is experiencing a rapid, multi-contextual change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such, so does the means to fulfill the purpose of public service which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Innovation as a concept for responding to environment change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required to improve the public service (Walker, 2006).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of organizational restriction and servant leadership in searching for innovation factors in public management which is distinct from the private management. Dividing the organizational restriction by 2 standards which are (i) the subject of restriction and (ii) the degree of officialit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rvant leadership on public organizational innovation under the 4 types of organizational restriction: (i) official external restriction, (ii) unofficial external restriction, (iii) official internal restriction, and (iv) unofficial internal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important for public organizations to increase responsiveness to the people who receive the public service. Also, explicitly clarifying organizational discipline and routine raises members’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which ironically increases behavioural aut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