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 기억과 기념은 과거가 아닌, 현재의 현실적인 이해관계와 이념 지형이 그대로 반영될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지 냉정한 비판의식과 미래 지향적인 관점이 요구되며, 기념사업에 대한 철학적 뒷 받침이 있어야 한다. 동학농민혁명은 밑으로부터 이루어진 한국 근대의 시발점으로 평등, 민주, 인권, 상생 등의 가치를 지향하였다. 그러므로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은 그러한 가치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동학농민군이 지향한 것은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였다. 동학농민군이 뿌린 정의와 평등의 씨앗은 오늘날 민주시민사회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은 국가 중심의 권위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민중적이고 민주적이며 상생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구상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동학농민혁명은 새로운 사회로의 진보를 지향한 만큼 기념사업 역시 시대를 넘어 21세기 새로운 민중문화를 창출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특히 민족·국민과 같은 집단개념에서 ‘사람’ 하나하나의 가치를 빛낼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과 문화예술이 융복합된 기념콘텐츠를 발굴하여 확산시켜야 한다. 그를 통해 사람의 가치를 담아내는 기념, 장소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념공간, 기억의 회상과 추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념콘텐츠가 되어야 한다. 이는 나주지역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나주지역은 ‘정의’를 핵심가치와 기념철학으로 삼아 시대정신이 반영된 논쟁을 많이 만들어낼 필요성이 있다. 더 나아가 정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상징 기념공간과 조형물 조성, ICT와 융합된 문화콘텐츠 개발, 동학농민혁명과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만남 을 통한 정의로운 공공선 추구 등이 이루어질 때, 나주는 명실상부하게 ‘정의도시 나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modern era, aiming for modern values such as equality, democracy, human rights, and coexistence. Furthermore, as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aimed at progressing to a new society, the commemorative project should also create a new popular culture in the 21st century beyond the age. In particular, it should be a direction to shine the value of each person in the collective concept such as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also to discover and spread the memorial contents that combine digital and cultural arts. Through this, it should be a memorial content that can provide a memorial space that captures the value of people, a memorial space that can recall the meaning of the place, and a recall and experience of memories. This is the same with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roject in Naju, especially in Naju, where justice should be used as a core value and a memorial philosophy. The Naju Memorial Project needs to create a lot of debates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Furthermore, various symbolic memorial spaces and sculptures based on justice should be created, cultural contents integrated with IC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pursuit of just public good through communication and meeting with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civil society should be done. It is a process in which Naju becomes a just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