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삼론종 길장과 혜균의 중도사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고대 중국과 백제의 중관사상에서 보이는 변증법적 특징을 비교했다. 길장과 혜균은 모두 그들의 스승인 법랑의 중도사상을 계승하여, ‘非A非B’(‘不A不B’) 형식을 사용하여 중도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언어형식을 통해 두 사람이 역설하고자 하는 지점은 달랐다. 길장은 그가 펼친 삼종중도(三種中道)에서 가명과 중도의 ‘상즉’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不A不B’ 형식은 양변을 동시에 지양하는 철저한 무득(無得)의 정신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와 달리, 혜균은 그의 『대승사론현의기(大乘四論玄義記)』 제1권 「초장중가의(初章中假義)」에서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들에 관한 독창적인 해석을 전개하였는데, 그의 ‘非A非B’ 형식은 ‘진정한 해탈은 현실에서 대립적으로 나타난 자타(自他)의 변증법적 융합을 통해 이루어짐’을 역설한다. 따라서 혜균의 ‘非A非B’ 논법에서 타자와의 합일은 진정한 보편성을 획득하는 필요충분조건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oughts of the Middle Way of Jizang and Hyegyun, the masters of Sanlun school,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ical thinking in the Madhyamaka thoughts of ancient China and Baekje. Both inherited Falang’s ideas of ​​the middle way and used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neither A nor B" to show the middle way. However, their emphases through the double negation were quite different. In the three types of the middle way (三種中道), Jizang emphasizes that the provisional name is equal to the middle way, and his "neither A nor B" (不A不B) phrase reflects the spirit of nothing to be attained (無得), completely abandoning both sides of substantial nature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Hyegyun proposes the innovative interpretation of the dual categories of the Sanlun school in Chojangjoungga'ui, Daeseungsalonhyun'uigi Vol. 1. Thus, his "neither A nor B" (非A非B) phrase embodies the dialectical thinking that the dialectical integra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 is the only way to achieve the ultimate transcendence beyond one's limits. In other words, the unity of the self and the other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univers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