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포스트 TV 시대에 변화하는 미디어 이용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TV 중심적인접근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개념으로 포스트 TV를 관찰한다. 포스트 TV의 새로운 미디어 이용 관습은 곧 리듬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흐름” 개념과 “리듬분석”을 이론적·방법론적 근거로 미디어 이용 리듬을 이용의 장단, 이용의 집중, 이용의 반복 세 개의 차원으로 구성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리듬의 지표를 제시한다. 기계적 행동 데이터인 미디어 로그 자료를 이용해 미디어 플랫폼과 이용자의 속성에 따른 지표의 차이를 발견하면서 새롭게 제시한 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디어 이용 리듬 지표는 이용의 맥락에서 “메타안정적”인 상태로 끊임없이 타협하고 갈등하는 미디어의 리듬을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포스트 TV 시대를 주도하는 혼종적인 미디어 안에서 발생하는 리듬의 경향을 보여줄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 미디어의 복합적인 이용 행태를 읽어낼 수 있는 분석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post-TV as a dynamic concept to understand new media use behaviors in an ever-changing media environment. With the assumption that new ways of using media platforms in the post-TV era is a change in media rhythm, this study constructs general indices to observe the changes,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indices using mechanically-collected media log data from users’ mobile devices. Media rhythm was composed into three sub-dimensions: length, concentration, and repetition. Indices were presented for each dimension, and was applied to four types of post-TV media platforms. Differences were found to confirm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ices. The media rhythm indices presented in this study breaks from the TV-centered approach used in prior studies, and is able to objectively show the complex dynamics of diverse media rhythm found in post-TV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