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병렬형 양보 구문의 의미가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2장에서는 ‘X-어도 Y’로 표시한 단독형 양보 구문이 양보로 의미가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양보 의미가 구성되기 위한 두 가지 조건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 양보 구문의 전제가 되는 상황에서는 X가 Y를 단언하기 위한 조건을 위배한다는 위배 조건이다. 둘째, 양보 구문의 전제가 되는 상황의 조건 목록에서 배제되었던 X가 Y를 단언하기 위한 조건으로 새로 첨가됨으로써 척도 함축을 통해 초점 사태와 대안 집합의 사태를 합한 전체 집합이 Y의 조건이 된다는 전칭 양화 조건이다. 이 두 조건은 3장에서 ‘[A-co1 B-co2]X Y’로 표시한 병렬형 양보 구문의 의미 구성을 살피기 위한 틀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먼저 위배 조건과 전칭 양화 조건이 병렬형 양보 구문의 선행절 X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X의 의미가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X를 이루는 A와 B 중 하나가 Y를 단언하기 위한 조건을 위배한다는 것과, 의미적으로 상보 관계를 갖는 A와 B가 의미를 합하여 전체 집합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선택의 기능을 한다고 알려진 연결어미가 어떻게 X와 Y를 양보 관계로 잇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 집합을 이루는 X에 대하여 연결어미가 X의 요소들을 배분적으로 선택하여 Y와 양립할 수 있는 조건으로 삼게 함으로써 X와 Y가 ‘비관여’ 혹은 ‘상관없음’이라는 함축적 의미 관계로 해석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parallel concessive construction. 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the single concessive construction is interpreted as concessiv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wo condition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of concessive. First, in the presupposition situation, X violates the conditions for affirming Y. Second, X which was excluded from the condition lists in the presupposition situation, is newly added as a condition to affirm Y. Through the scale implication, the entire set, which combines the focal event and the alternative set of events, becomes a condition of Y. The aspect in which the meaning of the single concessive construction is constructed i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the parallel concessive construc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either A or B constituting X violates the conditions for affirming Y, and that A and B, which have a semantic complementary relationship, combine meanings to form the entire set. Next, we looked at how the connecting ending, known to function as a choice, leads X and Y to a concessive relationship. As a result, X and Y could be interpreted as an implicit semantic relationship of ‘non-intervention’ or ‘irrelevant’ by allowing the connecting ending to select the elements of X individually and make them compatible with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