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에서는 항일운동가 김찬해와 이재덕의 항일운동 및 부녀사업과 사회주의 사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젠더화된 여성주체’로서 기존 젠더 규범을 수행해왔는지, 또 어떻게 새로운젠더정체성을 구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들은 혁명전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기존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자신들이 수행해야 할 당연한 역할로 간주했으며, 그것을 수행함으로 인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및 젠더 정체성은 그들 스스로에 의해 지속되었다. 하지만 김찬해와 이재덕은 가부장제 규범에 의해 하나의 방향으로 흘러가면서도 그러한 코드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에 의해 항상 변화가능한 정체성의 재구성을 추동하는 존재이다. 이러한결론은 기존의 젠더 개념이 지니는 이분법적 분류체계에서 벗어나 외부로부터 그 어떤 목적이나 의미 같은 것을 부여하지 않고 여성자체가 한 시대의 이질적 요소들과 나름대로 연관되어 영향을 받고 기존 젠더 문법에서 벗어나 차이를 형성하고 구성 혹은 생성되는 정체성의 양상들에 대한 분석을 요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anti-Japanese activists Kim Chan-hae and Lee Jae-duk’s anti-Japanese movement, women’s work, and socialism work have been carried out as a “genderized female subject,” and how they have implemented the existing gender norms and implemented a new gender identity. While faithful to their role as revolutionary warriors, they regarded the existing patriarchal ideology as a natural role they had to perform, and by performing it,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gender identity were sustained by themselves. However, Chan-hae Kim and Jae-duk Lee are the ones who always drive the reorganization of a changeable identity by trying to escape from such a code while flowing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atriarchal norm. This conclusion breaks away from the dichotomous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existing concept of gender and does not give any purpose or meaning from the outside. It requires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identity that are formed, constructed, and cr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