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존 한국 역사에서 가야 건국연대에 대해 의심하는 예는 없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후로 일본의 학자들이 조선 역사를 연구하는 명목 아래 한반도에 있었던 고대 역사를 끌어내리는 작업을 하였는데, 그 목적은 일본서기의 내용 중심으로 일치하게 만드는 과정이었다. 일본은 전체주의적 천황제를 중시하였고, 이런 사상을 뒷받침해준 사서가 일본서기였다. 그래서 일본에서 츠다 소키치나 스에마츠 야스카즈 같은 일본인들이 한국의 고대사 전반부를 어떠한 근거도 없이전설 혹은 토속신앙으로 인식하였던 게 문제였다. 특히 가야사 부분에서 그들을가야를 ‘가라’혹은 ‘임나’ 부르면서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내용을 역사적 내용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취지다. 그리고 이들은 가야는 임나로서 일본이 한반도를 고대에 지배했다는 근거로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이들은 가야사의 건국연도를 연구하는 데 의미를 두지 않았다. 해방 이후 가야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남북한에 생기기 시작했다. 남한에서일본이 한반도에 임나라는 나라를 지배하면서 임나가 신라에게 망할 때까지, 일본이 다스렸다는 내용을 반박하기 시작했다. 일본 토기나 철기 등의 유물보다더 앞선 시대 유물이 한반도에 출토됨으로써,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다스렸다는설은 현대 학계에서 설 자리를 잃었다. 하지만 남한학계는 일본에서 언급한 임나와 가야를 일치하게 하려고 삼국지위지 동이전에 나오는 구야 혹은 가야는 3 세기의 내용이라고 하여 삼국유사에 나오는 절대 연도인 서기 42년을 부정하였다. 20세기 말의 이 정도를 해석은 과하지도 않아 보일 정도로 설득력은 있어 보였다, 하지만 21세기를 들어오면서 남한학계는 다른 부조리한 해석을 하였다.그들은 서기 42년 건국연대를 의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노골적으로 가야가5세기나 6세기에 군장 사회에서 고대국가1)로 발전했다는 열등문명으로 주장하거나 혹은 아예 고대국가로 발전하기도 전에 역사에서 사멸하였다는 주장을 한다. 또 한 어떤 이는 가야가 가지고 있던 여러 제도적 장치들이 고대국가로서 합당치 않다는 이유로 가야사의 절대 연도를 의심하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가야사의 절대 연도에 대해 부정하지 않는다. 북한에서는 삼국지위지 동이전에 나오는 상인 역계경이 고조선에서 사람들을 이끌고 남하한 내용을 인용하여, 고조선 말에 이들 유민이 남쪽으로 이동함으로 가야가 건국되었다는 가설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생각하는 고조선의 수도가 현재 평양이고평양에서 남하하여 현재 남한 경상도로 이동했다는 것은 북한 주체 사상적 논리이다. 그들은 남한보다 체제적 우위를 고대사에서 서기 위한 숨은 의미가 있다. 학술적으로 용인하기 어렵다. 남한 학계에서 민족 사학계는 문무왕릉 비문을 바탕으로 하여, 투후 김일제의후손인 신나라 황제, 왕망의 일가가 광무제에게 쫓겨 바다 건너 가야로 갔을 거라는 설이 지지를 받는다. 이 설은 위의 강단 남한 사학계나 북한학계 이론들보다 일리가 있다고 여겨지는 설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위의 강단사학계에서 부정하는 서기전 1세기 가야건국 연대를 직접 비판할만한 주장이 아니다. 일리가있다는 부분을 떠나서 강단 학계에서 인용한 일본서기나, 삼국지의 내용 그리고가락국기에 대한 불신을 직접 해소할 필요가 있다. 강단사학계에서 주장한 삼국유사에 언급한 수로왕 재위 연도가 199년인 것이너무 길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금관가야와 같은 시기건국한 대가야에 재위한 왕이 16명이 었던 것을 보아, 금관가야에 재위한 10명의 왕이 전부가 아니고 중간에 누락 된 인물들이 여럿이 있었을 것으로 해석될수 있다. 강단사학계에서 가야건국연대를 주장할 때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삼국지위지 동이전은 3세기에 특정적으로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다. 진수는 동이전의집필 목적이 이전부터 모아왔던 외국의 사료들이 책으로 담기지 않아, 진수 본인이 쓴다고 밝혔다. 그렇다는 것은 동이전의 이야기는 못 해도 전한 시대 내용까지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서기의 임나는 처음 언급되는 시기가 서기전 2세기임으로, 만약 가야와 임나가 같다면, 5~6세기에 건국했을 거라는 주장과 괴리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강단에서 주장하는 가락국기 가야건국연대의 의심은 근거로서 부족하다는 걸 밝힌다.


From a traditional Korean history study, the founding dates of Gaya had never had questioned. However, later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scholars from Japan lowered the periods of the founding dates of Gaya according to emphasis on Nihonshoki under the means of research. Japan praised totalitarianism under the Emperor’s authority and accord to the ideology, Nihonshoki was the most useful tool to justify. Therefore, Japanese scholars such as Sokichi Tsuda and Yasukaza Suematsu dissented any of the early records of ancient Korean history without any evidential argument but admit them as early legend or folk tales. Especially in the case of Gaya, they called the name ‘Gara’ or ‘Mimana’ and argued those records written in Samgukyusa’s Garakgukgi cannot approve as historical fact. More overly, this argument became evidence that Gaya is Mimana and it has been occupied by Yamato’s administration. On the base of this logic, Japanse scholars did not have any interest in the founding date of Gaya as a research subject. Later the Korean peninsula liberated from Japan’s occupatio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Gaya was changed compared to previous theories. South Korean academics disapproved of the idea, Ancient Yamato’s administration occupied Mimana existed in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fall under Shilla. On the archaeological fact that the artifacts of iron and pottery in the Korean peninsula is earlier than the same artifacts found in Japan, it is hard to be stated to say Japan ruled South territory of Korea. However, those academic scholars thrive to identify Gaya as Mimana, they’ve used Chinese text o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o prove Gaya has founded the state in 3rd century A.D. and denied the exact record written in the text says 42 A.D. The doctrine of those argument addressed in the late 20th century was mildly evidential but later passed 21st century, the South Korean academics were speculated it in absurd attempts. They do not deny the fact that Gaya found in 42 A.D. but did not become as ‘ancient state’39) until 5th or 6th century from ‘chiefdom’ which was the inferior civilization or not even reached on that stage and disappeared in the account. On the other hand, Gaya’s institutional character is no identify to approve to ‘ancient state’ stage and therefore the exact date, 42 A.D. deemed in suspicion. North Korean academics do not deny the exact date of the founding date. They instead argue with the evidence, Gojoseon’s merchant Yeokgaegyeong displaced the settlements to southward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o provide speculation that Gojoseon’s settlement reached South Korean peninsula and founded Gaya. However, that logic is under the idea Gojoseon’s capital city was in Pyongyang and the settlement moved to Gyeongsangdo province of South Korea which reminds under North Korea’s Juche ideology. It is the hidden message that North Korea wants to be superior to South Korea not only in the political competition but also in history which attempts North Korea to want to be the big brother of South Korea. It is academically difficult to admit. South Korea’s amateur historians grounded epitaph records of Moonmu King’s Tomb and speculated douhou秺候 Jin Medi’s descent Wangmang also the founder of Xin must have exile from later Han emperor Guangwu’s retaliate genocides and moved to Gaya through seaway. The theory is more applicable than North Korean speculation but this cannot able to criticize the academics’ suspicions. Even the fact that the theory according to the amateur is well-stated, it’s more necessary to dismiss the suspic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text, Samgukyusa’s Garakgukgi,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Nihonshoki. South Korean academics’ suspicion on Samgukyusa’s Garakgukgi about the reigning periods of King Suro of 199 years is explicitly too long. However, under the evidence from text Donggukyeojisengram, Great Gaya founded a similar period with Geumguan Gaya(King Suro founded) and the King list is 16. On the contrast, Geumguan Gaya’s list is 10. This provides evidence that Geumguan Gaya’s list lost records of few other rulers. They argue the Record of the Three Kingdoms is only provides 3rd century’s records but the text does not provide only one typical period of time. The writer, Chen shou already addressed the records about Dongyi is never have been written in other previous text but piled on collective archives, therefore he attempted to write them as a text. The records he uses are not limited only to a typical period but probably at least from the early Han dynasty period. Lastly, Nihonshoki mentions Mimana in the 2nd century B.C. and if Mimana is the same state as Gaya, the theory on 5th or 6th century founding has no ground to argue. Therefore, the academics’ suspicion on the founding date of Gaya has no strong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