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COVID-19 환경에서의 학생들의 교육적 역량강화를 높일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호남지역 4년제 항공서비스 전공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Google drive에서 작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요인의 자아개념, 학습에 대한 열정, 창의성, 학습에 있어서의 주도성, 학습기회의 개방성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요인의 창의성, 학습에 대한 열정, 학습기회의 개방성,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주도성 순으로 학습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학습몰입 요인은 자기효능감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학습과 자기효능감 간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인 학습에 있어서의 주도성, 학습기회의 개방성, 자아개념, 창의성, 학습에 대한 열정 요인과 자기효능감 간에 있어서 학습몰입 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learning reinforcement method that can enhance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competency in the COVID-19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immersion,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reated on Google Drive targeting four-year aviation service college students in the Honam area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order of self-concept, passion for learning, creativity, initiative in learning, and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Second, the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in the order of creativity, passion for learning,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self-concept, and initiative in learn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itment and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commitment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fficacy factor. Fourth, i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the learning immers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