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빈곤밀집지역과 범죄발생위험지역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의 범죄피해 두려움과 CPTED 요인의 관계에 대해 주목한다. 지역의 빈곤 정도와 범죄발생 정도에 따라 상이해지는 CPTED요소들의 효과성을 사회해체이론과 무질서이론으로 설명의 틀을 제시한다. 빈곤 밀집 지역일수록 범죄에 취약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거주환경의 취약성정도에 따라 범죄피해 두려움을 조절하는 CPTED의 효과성이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서울시에 거주하는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를 분석한 결과 빈곤하고 범죄발생율이 높은 지역의 경우 거주하는동네를 보다 무질서하다고 인식하고 범죄 피해 두려움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빈곤율과 범죄발생 정도에 따라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CPTED요인의 영향력과 요인이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결과는 CPTED 요인의 영향력이 지역의 사회경제적인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시사하며, 이 결과를 통해 취약한 지역에서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전략의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crime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factors of residents living in poverty-intensive and high-crime area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PTED on the neighborhood disorder perception and fear of crime of resident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area such as poverty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a survey of 800 people living in Seoul c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neighborhood where they live was perceived as more disorderly and that the fear of crime was also high in areas with poor and high crime incid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and factors of CPTED factors on the fear of crim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overty and the degree of crime occurrence.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CPTED factor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he region, and through this result, we inte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ime prevention strategies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vulnerabl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