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영자의 특성(과신성향과 휴브리스)과 기업평판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기업사회적책임(CSR)활동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코스피 기업 중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별로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통합OLS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경영자 과신성향은 Schrand and Zechman(2012)모형으로 추정하고 휴브리스는 매스컴을 통해 빅데이터 접근방식으로 추정한다. CSR은 경제실현연구소의 KEJI지수를이용하되 필수적CSR과 사회적CSR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경영자의 과신성향이나휴브리스는 기업평판자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CSR)은 평판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영자의 과신(휴브리스)성향과 평판자본간 음(-)의 관계는 CSR활동을 통해 완화되었다. 과신성향의 경영자 혹은 휴브리스가 강한 경영자가 기업의 CSR활동을 통해 기업평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는 본 연구결과는 경영자가 CSR을 위험회피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이용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흐름을 같이한다. CSR의 세부 구성요소별로는 필수적CSR이 평판자본을 증가시키는 한편 사회적CSR은 평판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모두 경영자의 과신성향(휴브리스)과 평판자본간 음(-)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해서는 기업의 장기가치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한 전략적 선택이 중요한 시점에서, 경영자의 특성변수로 인한 기업평판으로의 부정적인 영향을 기업의 CSR활동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크다. 계량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던 평판자본 연구분야에서 빅데이터 접근방식으로 추정된 경영자의 특성변수가 고려된 CSR의 역할이 검증된 본 연구는 관련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학계와 이해관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 capital,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activities. Non-financial KOSPI firms from 2006 to 2019 and KEJI index are employed and analysed using pooled OLS regression with clustering. This paper shows that CEO overconfidence or Hubris negatively affects reputation capital, while CSR have a positive effect on reputation capital. Thi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confidence(Hubris) and reputation capital is reduced by CSR.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the prior studies that CEO uses CSR as a strategic way of hedging.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because the negative impact of CEO’s characteristics on corporate reputation can be mitigated through CSR activities where strategic choices for variables affecting a company’s long-term value are importa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related research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academia and stakeho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