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시간지향성에 따른 재무지식, 재무태도, 재무행동, 그리고 이들의 총체인 재무역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소비자의 시간지향성이 재무지식, 재무태도, 재무행동, 재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재무교육이 재무지식, 재무태도, 재무행동, 재무역량에 대한 시간지향성의 영향을 조절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재무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 ‘2018 소비자 역량지수’조사 자료를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지향성을 지닌 소비자에 비해 미래지향성을 지닌 소비자의 재무지식, 재무태도 및 재무행동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들의 총체인 재무역량 역시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비자의 시간지향성은 재무지식, 재무태도, 재무행동, 재무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의 시간지향성이 미래지향적일수록 재무지식, 재무태도, 재무행동, 재무역량 수준이 높았다. 재무교육은 재무행동과 재무 역량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 by consumer’s time orient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e orientation on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on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 The ‘2018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Korea’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was used as an empirical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sumers with a present time orientation, the levels of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the financial capability of the consumers with a future time orientation were higher. Consumer's time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his/her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future time-orientated consumers are, the higher the levels of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 Financial education showe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consumer’s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cap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