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새로운 대인관계의 장인 SNS에서 타인과 친밀감을 경험하게 되는 상호작용에 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SNS를 이용하는 대학생을 403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SNS 상호작용에서 자기개방과 공감은 친밀감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현존감은 친밀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방과 공감은 사회적 현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현존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첫째, SNS 상호작용 상황에서 상대와 친밀한 관계가 되기 위해서 자기개방과 공감, 사회적 현존감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SNS 상호작용이 친밀감을 경험할 수 있는 대인관계의 하나의 장면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intimacy and the mediate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in SNS. 403 university students using SNS were surveyed for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and the results of bootstrap for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of mediated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elf-disclosure and empath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imacy, social pres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imacy, and self-disclosure and empath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presence. Second, social presence is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intimacy. In other words, self-disclosure and empathy not only directly affect the experience of intimacy,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rough social presence. This suggests that in the context of SNS interaction, self-disclosure, empathy, and improvement of social presence are necessary in order to become intimate with each other. Second, it suggests that SNS interaction can function as a scen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can experience intim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wanted to discus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