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계획된 우연학습기술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계획된 우연학습기술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진로탄력성이 매개하는지, 그리고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역기능적 진로신념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본 후, 계획된 우연학습기술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역기능적 진로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은 SPSS 20.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우연학습기술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은 계획된 우연학습기술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기능적 진로신념은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기능적 진로신념은 계획된 우연학습기술이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가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교육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78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es, and mediating effects, moderated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SPSS 20.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career resilienc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