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등학교를 중단한 청소년들이 학업중단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학업중단숙려제 참여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고등학교를 중단한 10명의 청소년들을 목적표집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을 중단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의지가 담긴 자발적인 학업중단을 하거나 비자발적 학업중단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부적응’에 대해 강함 거부감, 기성세대에 대한 불만, 교사의 교수방법에도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10명 중 8명의 학업중단 청소년은 학업중단 결과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넷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중단숙려제 참여여부를 떠나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해 불필요하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함께 프로그램 운영과정을 ‘상담’정도로만 인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업중단숙려제를 통해 기대하는 바는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지원, 학업지속 방법, 직업 훈련 등 학업중단 후 안내와 정보제공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업중단숙려제가 청소년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보호 장치로서의 역할이 되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업중단 과정에서 학생이 학업중단 청소년으로 전환될 때 사후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어 학교 내에서 이들을 연계관리 및 지원하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experiences out-of-school youths had in the course of school drop-outs and what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articipating in the mandatory deliberation program of school drop-outs are. For the analysis, 10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interview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youths experienced voluntary or involuntary school drop-outs. Second, out-of-school youths expressed strong resistance to the expression “study maladjustment” and dissatisfaction with teaching quality in their school. Third, this study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did not regret the drop-out decision. Fourth, out-of-school youths recognized the mandatory deliberation program of school drop-outs as counseling with a negative evaluation that the program was unnecessary. Fifth, what was expected through the program was the provision of necessary information after school drop-ou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datory deliberation program of school drop-outs needs to be supplemented to serve as a protective device that provides more practical help to adolescents. In the process of school drop-out, students are converted to out-of-school youths, and in this process, blind spots for follow-up management arise,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o manage and support them within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