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schließt als Folgestudie an die Untersuchung von Ryu et al. (2019) an, in der die Ausdrucksweisen von L2-Deutschlernenden über Bewegungsereignisse analysiert wurden, um deren Ausdrucksstrategien bezüglich räumlicher Relationen und deren Wahnehmung zu erörtern. Die Ergebnisse der ersten Studie über die Path-Lexikalisierungen ließen weitere Untersuchungen zu syntaktischen Faktoren notwendig erscheinen, um eine vollständigere Erfassung der Besonderheiten von Ausdrucksstrategien und Konzeptstrukturierungen in Bezug auf Figure und Ground zu ermöglichen. Basierend auf der Analyse syntaktischer Muster wie Kasuszuweisungen von Argumenten zeigt sich im Ergebnis, dass koreanischsprachige Deutschlernende sowohl von der verb-framed Muttersprache, als auch von der satellite-framed deutschen Sprache beeinflusst werden. Die Analyse ergibt, dass der Anteil der reverse syntax, den Kasus bei einem Austausch von F und G syntaktisch unverändert zu realisieren, größer war, was mit den Merkmalen der koreanischen Sprache eine hohe Relevanz zu haben scheint. Auch konnte festgestellt werden, dass diese reverse syntax weniger häufig auftrat und die Ausdrucksstrategie in höherem Maße derjenigen der deutschen Muttersprachler ähnelte, je höher das Sprachniveau war.


본 논문은 학습자 언어에 나타나는 공간 관계의 표현전략과 인지 특성을살펴보기 위해 L2 학습자의 이동사건에 대한 독일어 표현 양상을 분석,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 연구는 전경-배경의 공간 관계에 대한 어휘전략을 주로 논의했던 류수린 외(2019)의 후속 연구로, 문법 요소를 통한 이동사건의 전경-배경(FG)의 표현 전략과 개념 구조화의 특성을 다루었다. 특히 이동사건의 전경-배경 교체에 따른 논항의 격 할당의 통사적 양상 분석을 통해 독일어 L2(GL2) 학습자 언어에 나타난 한국어(KL1)와 독일어(GL1)의 개별 언어적 영향, 그리고 공간 인지에 미치는 언어적 영향의 근거를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GL2 학습자는이동 사건에 있어 FG 교체 시 문법적 격표지를 할당할 때, (교체에 따라 격표지를 바꾸지 않는) reverse syntax 양상이 GL1보다는 더 많이 나타나지만, KL1보다는 적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현상은 목표어의 규범을 따르고 있는 제2언어습득의 과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관계 조건이 Loose around/contain인 경우 특히 reverse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KL1의 어휘 사용 양상(동일한 path term, 특히 높은 동사 사용 비중)의 영향과 독일어 동사 사용의 어려움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Tight-fit 조건에서 reverse 양상과 함께 F-G 구분이 불명확한 other syntax의 비율이높게 나타나는데, 이 역시 KL1의 어휘 선택(공간 관계의 상세화 대신loose/tight 구분에 우선 주목하여 동일 동사 사용) 특성과 이동사건의 ‘종결상태 Endzustand’를 보고하려는 경향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L2의학습 수준이 높아질수록 reverse syntax와 other syntax 사용 빈도가 줄어든다는 사실에서 목표어 규범 적용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