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도입된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와 같은 혁신적인 제도의 도입으로만은 기존의 규제혁신의 목적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다. 신산업 및 서비스를 육성하기 위해 도입된 규제혁신 제도의 이면에는, 운영 및 관리상 참여 주체 간 입장차이로 제도의 실효성 확보에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마트시티 육성을 위해 도입된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둘러 싼 핵심주체 간 단계별 핵심쟁점을 파악하고,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인식유형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제도 운영 및 관리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 운영 및 관리상 법개정 단계인(5단계)에서 참여주체 간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실증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것은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등 관리적 측면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갈등요인으로는 참여기업의 선택권보장, 주제선정방식, 담당공무원 전문성 지속방안, 업무프로세스 단순화 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국내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체 간 인식차이 분석을 통해 향후 정책수립 과정에서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systems such as the smart city regulatory sandbox system introduced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has limitations in achieving the purpose of existing regulatory innovation. Behind the regulatory innovation system introduced to foster new industries and services, there are difficulties in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due to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key issues of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regulatory sandbox system introduced to foster smart cities, analyze the conflict structure using the Q methodology,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mart city regulatory sandbox system,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terests of the participating parties in the legal revision stage (step 5).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demand for management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business processes was high, which is important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 Lastly, the conflict factors of the smart city regulatory sandbox system were the guarantee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choice of choice, the method of topic selection, the continua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officials in charge,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work process. Steps 1, 2, and 4 are mainly included as cooperation measures, and cooperation plans were confirmed mainly in the process of document preparation and application reception. This study can be used for prioritization in the policy establishment proces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actor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domestic smart city regulatory sandbox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