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자(莊子)는 『장자(莊子)』 제2편 제물론(齊物論)에서 남곽자기(南郭子綦)가 자신의 몸과 마음을 잃고 하늘의 퉁소 소리(天籟)를 듣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몸과 마음을 잃음(吾喪我)이라 함은, 대나무에 구멍을 뚫고 자신의 숨을 불어넣어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듣는 것(사람의 퉁소 소리, 人籟), 그리고 하늘에서 온갖 구멍에 바람이 불어옴을 알지 못한 채 제 구멍에서 나는 소리를 자신이 내는 줄로 아는 것(땅의 퉁소 소리, 地籟)을 넘어서는 것(去)이다. 몸과 마음의 경계를 잃은 남곽자기는 하늘에서 들려오는 소리 없는(無) 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인다. 이를 장자는 도(道)라 이야기한다. 다시 말하면 『장자』 제물론(齊物論)에서 도(道)란 있음과 없음, 이것과 저것, 옳음과 그름의 경계가 있는 줄도 알지 못한 채 온갖 사물(事物)을 긍정하는 것(因是)이다. 이 글에서는 이를 온전한(全) 자유(自由)라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는 생각과 행동(有爲)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자신을 포함한 온갖 사물에 힘을 발현한다. 특히 법을 통한 힘의 발현은 그 세기가 강력하다. 전근대의 법질서는 그 강력한 힘으로 군주(王)가 원하는 소리를 듣기 위해 온갖 사물의 몸과 마음에 경계를 지었다. 그렇다면 그러한 구속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새로이 형성된 근대의 법질서는 과연 인권선언과 각국 헌법에 명시한 것처럼 모든 사람에게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였는가. 즉, 장자가 이야기하는 도(道), 이 글에서 이야기하는 온전한 자유에 이르도록 하였는가. 아니면 군주의 자리를 꿰찬 누군가가 원하는 소리를 듣기 위한 법질서로 또다시 회귀하였는가. 무엇보다 지금의 우리는 20세기 초중반 비극적인 경험을 넘어 생태계의 위기로 생존에 위협을 느끼면서, 근대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번 기존의 질서에 대해 질문한다. 나(吾)는 누구인가, 나를 포함한 온갖 사물은 과연 무엇인가 묻고 있다. 이 글은 『장자』 제물론(齊物論)의 남곽자기 이야기를 중심으로,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횡단하면서, 우리가 우리를 포함한 온갖 사물을 온전히 자유롭게 하는 질서를 구성함에 있어,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자신의 힘을 발현하는 데에 있어 살펴야 할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There is a passage in Chuang Tzu(莊子) Vol. II Ch’i Wu Lun(齊物論) where the author writes about Tzu Ch’i of South Wall(南郭子綦) losing his body and soul, while listening to the pipes of heaven(天籟). Losing one’s body and soul(吾喪我) is a state beyond(去) puncturing a hole in a bamboo bark, blowing one’s own breath into it, and listening to the pipes of men(人籟) that one wishes to hear. It is beyond the state of the pipes of earth(地籟), where one thinks the sound coming from the hole was made by oneself, when in reality it was heaven that blew wind into all kinds of the hole. Forgetting the boundaries of his body and soul, Tzu Ch’i of South Wall listens silently to the sounds of the soundless(無) coming from heaven. Chuang Tzu refers to this state of being as tao(道). In other words, in Ch’i Wu Lun of Chuang Tzu, tao is the state of this-yes of all things(因是), unaware of the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non-being, this and that, and yes and no. In this paper, we will call this state of being “whole(全) freedom(自由).” We exert power on all beings, including ourselves, in various ways through our thoughts and actions(有爲). Among these, the exertion of power through laws is particularly powerful. In pre-modern times, laws used powerful forces to create boundaries in the body and soul of all things to conform to what the monarch wished to hear. Then, did modern law, which aimed to liberate itself from these bounds, succeed in realizing freedom and equality for all as stipulated in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nstitution of individual nations? In other words, did it reach Chuang Tzu’s tao or whole freedom? Or did it once again return to a legal order that conformed to what the person who replaced the monarch wishes to hear? After the tragedies of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our existence is now threatened by the crisis in our ecosystem. As in modern times, we are once again questioning the status quo and asking ourselves “Who am I?” and “What are all things including myself?” Focusing on the story of Tzu Ch’i of South Wall while also examining Lao Tzu(老子)’s Tao Te Ching(道德經), this paper will discuss things we must consider when constructing an order that will bring whole freedom to all beings, including ourselves, and ultimately when exerting our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