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가치 사슬(Global Value Chain)이 발전함에 따라 무역 활동은 기존의 유형 거래를 비롯하여 더 많은 분야 활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당사자가 무역 거래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문제도 많아졌다. OEM은 글로벌 가치 사슬의 기본적인 특징을 가진 생산 방식으로 OEM 생산 과정에서 상표권을 가진 제3자의 합법적 권익을 침해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중국에서 OEM 생산이 제3자의 상표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는 판결에 따라 입장이 다르다. 그러나 주요 쟁점은 OEM 생산이 ‘상표사용 구성 여부’와 ‘혼동 가능성’에 따라서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적용되는 중국의 <상표법> 제57조 규정이 너무 개괄적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대륙법을 적용하는 유럽과 한국의 관련 규정을 참조하여 해석하고 중국 법원 판례와 결합하여 OEM 생산이 중국 <상표법> 제57조에서 상표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판단되는지 분석하고, 제57조 규정의 해석을 보완해야 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In China's OEM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a possibility of infring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ird parti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judgments of the Chinese courts, and clear distinction is needed. This paper focuses on literature research, and for this purpose, academic articles and internet data related to this case a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court's judgment on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we reviewed the precedents of Peak Sport, SPEEDO, and Honda Hengsheng Xintai. In this regard, the court's rulings differ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s, and the appeals court. In the end, the factors that played a decisive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was an infringement were the interpretation of ‘trademark use composition’ and ‘possibility of confusion’. Even if all processed products in OEM production are exported abroad, they must be judged as infringing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ird parties because they meet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stipulated in Article 57 of the <Trademark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