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ing pre-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ability focused on cultural intelligence (CQ). To achieve this purpose, pre-teachers' four lesson plans presented for microteaching in the lecture of Methodology of Primary English Language Teaching were analysed in terms of CQ composed of meta-cognitive,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CQ.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Contents related to meta-cognitive CQ aren't designed in the awareness stage corresponded to primary classes, because English language learners (ELLs) don't have experiences of being conscious of and checking their cultural knowledge when they interact with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2) As ELLs partially foster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CQs, they cannot communicate with classmates appropriately through classroom activities closely associated with values, beliefs, norms, and social customs of speake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3) Critical thinking ability needs to be assessed through classroom activities based on CQ, because ELLs should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closely related to meta-cognitive and cognitive CQs. Thus, in this paper, it was suggested that pre-teachers need to design contents and classroom activities for improving primary ELLs’ CQ considering cognitive and affective levels of learners corresponded to the awareness stage.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화자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고 내실있게 문화지능을 함양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에 있다. 이를 위해, 문화지능(cultural intelligence: CQ)의 개념과 구성요소인 상위 인지적,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CQ의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였다. 무작위로 추출된 수업지도안은 예비교사들이 초등영어지도법 강좌에서 5학년 또는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을 위해 제출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인식단계에 해당하는 초등영어학습자를 위해 상위인지 CQ와관련된 내용이 거의 담겨져 있지 않았다. 초등영어학습자들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사람들과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지식과 관련된내용이 교육과정의 소재에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영어학습자들이 인지와 행동적CQ를 부분적으로 학습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의 가치, 규준, 신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실활동들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도할 필요가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상위인지와 인지 CQ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CQ기반 교실활동을 통해 비판적 사고능력을 제대로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CQ를 제대로 함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요구와 수준을 점검하고, 그에 터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