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확대되어온 가상팀은 팬데믹 발생 이후 일반화된 근무 형태로 자리매김하는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에도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중요한 것은 가상팀은 확대되고 있으나가상성에 대한 이해가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성에 대한 보다 깊은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성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다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수준에서 가상성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과 그 영향에 의한 성과의 변동을 설명하였고 팀/조직수준에서 팀 가상성과 신뢰 풍토의 조절 효과 제안을 통하여 가상성과 성과의 관계를 다 수준에서 설명하는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성과 성과 사이에서 심리적 거리라는 매개 변수의 존재와 그 역할에주목하면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반부는 가상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거리에 초점을 맞췄다. 이 과정에서 개인 가상성과 팀 가상성을 구분하여 팀 가상성의 조절 효과를 제시했는데 개인 가상성과 팀가상성의 상호 작용이 심리적 거리에 영향을 준다고 봤다. 후반부는 가상성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거리가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심리적 거리는 개인에게 불확실성을 경험하게 하는데 개인이불확실성을 경험하면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동기가 촉발된다. 이 과정에서 신뢰가 심리적 거리와 상호작용하여팀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기존의 가상성 연구에서 신뢰를 조절변수로 사용한 적이 있지만, 가상성이높아지면 대면 기회가 적어 신뢰의 변동(variation)을 직접 관찰, 측정하기 어렵다. 오히려 공간적으로 떨어져있는 경우에는 공유된 지각인 “신뢰 풍토”를 조절변수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봤다. 연구 결과는가상성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먼저, 가상성에 대한 다 수준 접근을 통하여개인 가상성과 팀 가상성의 역할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가상성이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심리적거리의 매개 역할과 심리적 거리가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이 불확실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제시하였다. 셋째, 심리적 거리가 팀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신뢰 풍토의 조절 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성을 개인 수준 또는 팀 수준 하나에 국한하여 설명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수준에서 가상성과 성과의 관계를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Virtual team which has expanded with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is settled as a generalized work form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expand after the pandemic.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virtual team is expanding;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virtuality remains at superficial level.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virtual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ity and performance at multi-level. Specially, this study explained virtuality and performance at multi-level through the psychological effect of virtuality on members and change in performance at individual level. And the proposal of the moderation effect of team virtuality and trust climate at team/organization level.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existence and role of the variabl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virtuality and performance. This study is divided broadly into two parts, and the first half is concerned with psychological distance affected by virtuality. In this process, individual virtuality and team virtuality were classifi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virtuality was present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virtuality and team virtuality was considered to affect psychological distance. The second half is a process in which psychological distance caused by virtuality affects team performance. Psychological distance makes individuals experience uncertainty, and when an individual experiences uncertainty, a motivation to resolve it is triggered. In this process, trust interacts with psychological distance and affects team performance. Though trust has been used as a moderator in existing virtuality studies, it is difficult to directly observe and measure the variation of trust due to fewer face-to-face contacts when virtuality increases. Rather, if spatially separated, it is reasonable to use the shared perception, “trust climate,” as a modera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based on a review of virtuality. First, the roles of individual virtuality and team virtuality were proposed separately through a multi-level approach to virtua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inthe process of virtuality affecting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istance affecting performance are performed through uncertainty.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trust climate was proposed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istance that affects team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ity and performance at multi-leve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receding studies that explain virtuality only either at individual or team level. This perspective allows a multidimensional view of the issue of virtuality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