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연변여성』의 「오작교」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여성들의 전통적인 성별분업 지향의 ‘역행’현상에 고찰하였다. 1960~1970년대 조선족 여성들이 선호하는 배우자 직업은 노동자, 군인 등이었으나, 개혁개방 이후인 1980~1990년대에는 공무원, 사업가 등으로 변화되었으며, 사업이 있는 남자, 사업심이 강한 남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이러한 배우자 선택관의 변화는 국가의 경제체제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체제 하의 여성들의 취직난, 경제체제 변화에 부응한 남성들의 창업, 나아가 1980~1990년대 조선족 여성들의 이중적인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식변화 등 요소들이 맞물려 여성들은 사업이 있거나 사업심이 강한 남자를 선호하면서 자신들의 가정 내에서의 역할을 더욱 강조하는 전통적인 성별분업을 지향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하지만 개혁개방을 맞이하며 여성들이 사업심이 강하고 사업이 있는 배우자를 선호한 것은 결코 혼인에서의 자유를 포기하고 전적으로 남성에 의탁하여 살아가겠다는 것이 아니라 소비사회에 진입하면서 여성들이 더욱 풍요로운 삶을 위해 부의 축적을 욕망하는 등의 시대적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존 성 역할의 강화 내지 지속은 조선족 여성들이 젠더 정체성 수행이라는 입장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면서 기존의 가부장적 문화는 단번에 해체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수행하는 주체들의 행위에 의해 지속, 해체, 생성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변화되는 것이다.


This paper uses text mining methods to analyze Yanbian Women’s <Ojakgyo>. It also investigates the “retrograde” phenomenon of Korean women’s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after reform and liberalization. During the 1960s and 1970s, Korean women chose to marry workers and soldiers. However, starting in the 1980s, more women became civil servants and entrepreneurs and preferred men with stable careers and, presumably, with greater ambitions. This change of mate selection coincided with national economic changes. After the reform,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acquire desirable employment, and men’s entrepreneurship became a new systemic way to adapt to market changes. In particular, between the 1980s and 1900s, Korean women faced a double burden of finding a job and adjusting to the rise in male-centered entrepreneurism. They had to deal with a new social consciousness that expected them to seek ambitious men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divisions of labor and fulfilling their familial responsibilities. However, women did not simply forego all independence and rely on men to live; women became important actors in consumer society.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living richer lives became crucial values for them. Such pursuits became the rising raison d’etre of the times. Yet, gender roles remained cemented in tradition and Korean womens’ belief that spousal responsibilities reaffirmed their Korean identity. Despite today’s turn toward a new, more liberal era, parental culture, while influenced considerably, remains a persistent phenomenon that maintains much of its earlier forms but with minor adjustments to account for systemic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