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예학(禮學) 중 상례(喪禮)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례란 부모 및 친족 등의 죽음과 관계되는 예로, 사례(四禮) 중 가장 복잡하고 중요하다. 필자는 상례 중에서 전통적으로 논란이 많았던 항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간재 예학을 고찰하였다. 예컨대 1659년의 기해년(己亥年) 전례논쟁에서 부각된 ‘장자복제(長子服制)’ 예설,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에 아들이 어머니를 위해 재최기년복(齊衰期年服)과 심상(心喪)을 하는 예설, 『가례(家禮)』에 규정이 없어서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 개장(改葬)과 훼손된 묘(墓)를 복토(復土)할 때의 복제 등을 살폈다. 간재 예학의 특징을 분석하면, 우선 간재는 율곡학파 내 예학자들의 예설을 기반으로 하여 타당한 예설을 찾으려 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 중 예설 인용 및 전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 스승인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와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예설을 존숭했다는 점이다. 특히 매산의 경우에 상례에서 예설을 인용한 경우가 율곡학파 내에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긍정하거나 중요한 근거로 삼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적해야 할 부분은 종법의 원리를 강조하고 예의 근본(천리・인륜)에 기반하여 예설을 주장하고 실천하려는 입장이다. 다양한 변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의 근본을 지켜 상실하지 않는 것이 우선 요구된다. 특히 ‘장자복제(長子服制)’ 예설에서 부각된 적적상승삼대지설(適適相承三代之說)이 주목된다. 이는 혼란스러운 한말에 간재가 엄격하게 종법 원칙을 강조했던 것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Jeon, Woo(田愚: 1841-1922, the nom de plume: Ganjae)'s funeral ritual of lixue(禮學). Funeral ritual is related to the death of parents and relatives, belongs to the most complicated and important ritual of the family rituals. Since there are not many research on Woo Jeon's lixue, the characteristics of Woo Jeon's funeral ritual was considered through topic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It is research for theory of Li about mourning for the eldest son, the son's funeral ritual for the mother's death when the father is alive, ritual of transferring a grave.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Lixue are as follows. First, Ganjae mainly tried to look at the Yulgok School's theory of Li and find the most valid argument. Especially he tried to respect and succeed his teacher Jeonjae & Maesan's theory of li about the ritual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Maesan's theory of li was most often cited, and most of them was positive and important grounds. Second, Ganjae emphasized zongfa(clan rules)'s principles and theory of Li based on the nature law and human nature being.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it is first required not to lose the li's basis and principles.